![](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_copy14.jpg)
1. 회음 차크라(척추 맨 아래에 있는 미저골 부위) - 빨간색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의 흐름을 관장하여 신체에 힘과 활력을 준다. 특히 순환계와 생식계의 작용과 사지의 기능에 연결되어 고환과 난소, 발과 다리의 활동에 연관되어 있다. 육체를 지탱하므로 뼈와 척추를 다스리고, 창자의 기능 중에서는 직장과 항문에 관여하며 신체 전반적인 면역체계를 관장하는 차크라이다.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7copy_copy.gif)
부조화되었을 때
◆심리적 증상
돈에 대한 욕구와 집착이 강해 돈과 물질이 손에 들어와도 안심하지 못하며, 호색적이어서 폭력적인 행동으로 치닫는 경우도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민감하며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에는 공격적이게 되고 호전적이며 자기보다 못하다고 인정하면 거만하고 무모하며 횡포하다. 소유욕이 많아 착취하는 경향이 있고, 보수적이어서 안주하며 권력을 추구한다. 생각 없이 열광하고, 생각 없이 행동하며 만족할 때까지 집착한다. 그리고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컨트롤할 수 있는 힘을 잃어버려 정열이 분노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육체적 증상
좌골신경통, 다리 통증, 뼈가 시린 증상, 골다공증, 정맥류, 직장종양, 암, 우울증, 면역체계 이상, 만성요통
2. 단전 차크라(배꼽 아래 단전 부위) - 황토색(주황색)
인간과 인간,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를 이끌며 생식기, 대장, 요추, 골반, 엉덩이, 방광, 신장, 여성의 자궁 등과 연관되어 있다. 배설기 계통의 활동을 돕기 때문에 신체의 해독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부조화되었을 때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6copy.gif)
◆심리적 증상
과거 또는 현재에서 감정적, 육체적으로 심한 쇼크를 받고 있어 그 쇼크를 놓아버리지 못하고 겁에 질려 떨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기적이고 교만하여 타인과 원만하지 못하며 허영이 있어 실속 없이 부풀리고 사회적 신분을 중요시하여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며, 자신감이 없어 타인에게 기대거나 의존하며 우유부단하기 때문에 책임을 전가하며 타인으로부터 부담스럽게 여겨진다. 감수성이 풍부한 반면 상처받기 쉽고 부주의하거나 경솔한 면도 있다. 타인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에너지를 형성한다.
◆육체적 증상
전립선의 질환, 난소암, 허리와 엉덩이의 만성 통증, 생리통, 남녀 생식기 질환, 소변 질환, 성적인 힘
3. 위장 차크라(태양신경총 부위) - 노란색
내면의 자아성찰로 나아가게 하며 소화기계를 다스리며 췌장, 위장, 신장, 부신, 간장, 쓸개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반적으로 복부에 영향을 주며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는 위장 질환과 소화 섭취를 도우며 특히 심인성으로 인한 위장 질환을 바로잡는데 효과적인 차크라이다.
부조화되었을 때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5copy.gif)
◆심리적 증상
정서적으로 항상 불안하고 사람을 의심하거나, 정신적으로 강한 두려움을 내포하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자신의 정신적 능력을 믿지 못해 상황이 자기 뜻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병이 되기도 한다. 완벽주의에 보수적이기 때문에 좁은 시각에서 삶을 바라보며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어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고립된 느낌을 갖는다. 그리고 항상 계획을 잘 세우나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편이다.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사실을 후회하는 경향이 있다.
◆육체적 증상
급만성 소화불량, 위나 십이지장 궤양, 췌장염이나 당뇨, 식욕부진이나 항진, 간 기능 장애 등
4. 가슴 차크라(가슴 한 가운데 부위) - 초록색
인체의 에너지 체계에서 중심이 되는 발전소로 우리 삶 속에서 이해와 공감을 일깨우고 표현하게 한다. 가슴 한 가운데에 위치하여 심장과 순환체계, 흉선, 갈비뼈, 폐, 어깨, 팔 그리고 손과 연관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모든 영양분의 소화에 영향을 미치며 심장 질환이나 소화 질환과 연관이 있는 차크라이다.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4copy.gif)
◆심리적 증상
마음속에 사랑이 메마르고 자기 사랑에 결핍이 있으므로 오히려 사랑을 소유하려 한다. 그러다가 안 되면 화내거나 의심하고 시샘하며, 심한 경우에는 질투가 지나쳐 남의 것을 욕심내고 탐낸다. 늘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를 기대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자신의 감정을 너무 억누른 나머지 어중간한 발언과 태도를 취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나아가서는 정서 결핍이 되어 남 앞에 나서지 못하고 지나치게 수줍어하며 조심스럽고 불안해한다.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인생에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인생이 불공평하고 정의롭지 못하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인생의 낙오자나 불운한 운명을 타고났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비참해지거나 무관심 혹은 냉담한 사람이 된다. 금전적인 불안정이 있어 남을 돕는 데 인색하다.
◆육체적 증상
고혈압, 저혈압 등의 혈액순환의 문제, 부정맥, 심장 불안, 가슴 답답함,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마비. 폐암이나 기관지 폐결핵 폐염 천식. 어깨가 아프고 흉추가 아프다. 50대에 찾아오는 어깨 아픈 증상의 하나인 오십견통도 가슴 차크라가 막혀서 생긴다.
5. 목 차크라(목 부위 경부 신경총) - 파란색
신성으로 향하는 인간의 의지를 담당하며 인체의 목과 연결되어 신체의 신진대사와 평형을 조절해주는 갑상선, 부갑상선의 기능을 주관하며 경추, 목, 입, 치아, 턱, 호흡계통, 기관지, 발음기관 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3copy.gif)
◆심리적 증상
타인을 지배하려 하지만 우월한 사람에게는 항상 복종한다. 고정관념을 갖고 있어 변하려 하지 않고 전통에 집착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이 잘 안 되기도 한다. 항상 규율과 감독을 요구하는 엄격하고 완강한 권위주의적인 아버지 상이다. 마음속에 늘 허무감이 있고 항상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어 고독과 외로움으로 인한 나머지 타인을 지나치게 간섭하게 된다. 의심이 많아지고 요령이 부족해지고 일상생활에 별 관심이 없어서 현실감각이 무뎌지고, 감상적이고 자신을 표현하기 어려워하고 조용하고 억제되어 자기만족에 머무르기 때문에 타인에게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육체적 증상
갑상선이나 후두 혹은 폐, 기관지, 천식 등
6. 미간 차크라(두 눈 사이, 두뇌중앙의 뇌간) - 남색
영적인 의식과 자신의 본면목을 찾으려는 본성을 담당하며 두뇌 우반구 기능과 마음의 창조적 작용과 연관되어 있다. 두 눈 사이의 눈두덩과 송과선에 연관되어 시각 및 청각기관을 포함한 뇌하수체와 신체 전반의 내분비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2copy_copy.gif)
◆심리적 증상
미간 차크라가 불안정하면 항상 근심에 빠진 상태이다. 의식이 없는 상태를 두려워한다. 외적인 지능에 매혹된다. 이기적인 이유로 힘을 추구한다. 타인의 재능을 부러워한다. 끈질기지 못하다. 약속에 늦는다. 미신적이다. 비능률적이다. 현재에 살지 못하고 미래를 두려워한다. 타인을 얕잡아본다. 타인이 느끼는 자신의 인상에 대해 과민하다. 실천력이 부족하다.
◆육체적 증상
눈과 귀, 코, 즉 얼굴에 생기는 질병과 폐 질환 천식 및 소화불량
7. 두정 차크라(머리끝 정수리) - 보라색
인간을 높은 차원의 우주 힘과 공명할 수 있도록 기도와 명상을 통해 내면의 각성을 얻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체의 머리끝 정수리에 위치하여 두개골 체계와 신경계통, 골격계통 전반의 기능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든 신경통로, 신체 내의 전기적 흐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http://www.unicolor.co.kr/cheditor/attach/01copy.gif)
부조화되었을 때
◆심리적 증상
이 차크라의 조화가 깨지거나 부족하게 되면 오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고 오랫동안 사람을 사귀지 못해 극도로 우울해지거나, 자기를 불신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이며 비판적이게 되고, 동정을 바란다. 이런 곳에 있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삶에서 물질이라는 난관에 부닥치게 된다.
이 차크라는 머리와 관계되므로 건망증, 치매 혹은 인내력 부족으로 인해 경솔하거나 무례하거나 오만해지는 경향도 있다. 또한 뇌하수체 호르몬 기능 저하로 인한 건망증과 그리고 참을성 부족 등의 증상이 있다. 인기가 있거나 필요한 존재가 되고 싶어하기 때문에 무관심, 두려움, 고뇌로 고통을 받는다.
◆육체적 증상
류머티즘, 뇌진탕, 간질, 뇌종양, 뇌척수막염, 신장 및 방광 질환, 신경과민.
![]() 1. 회음 차크라(척추 맨 아래에 있는 미저골 부위) - 빨간색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의 흐름을 관장하여 신체에 힘과 활력을 준다. 특히 순환계와 생식계의 작용과 사지의 기능에 연결되어 고환과 난소, 발과 다리의 활동에 연관되어 있다. 육체를 지탱하므로 뼈와 척추를 다스리고, 창자의 기능 중에서는 직장과 항문에 관여하며 신체 전반적인 면역체계를 관장하는 차크라이다. ![]() 부조화되었을 때 ◆심리적 증상 돈에 대한 욕구와 집착이 강해 돈과 물질이 손에 들어와도 안심하지 못하며, 호색적이어서 폭력적인 행동으로 치닫는 경우도 있다.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민감하며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에는 공격적이게 되고 호전적이며 자기보다 못하다고 인정하면 거만하고 무모하며 횡포하다. 소유욕이 많아 착취하는 경향이 있고, 보수적이어서 안주하며 권력을 추구한다. 생각 없이 열광하고, 생각 없이 행동하며 만족할 때까지 집착한다. 그리고 지나치게 감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컨트롤할 수 있는 힘을 잃어버려 정열이 분노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육체적 증상 좌골신경통, 다리 통증, 뼈가 시린 증상, 골다공증, 정맥류, 직장종양, 암, 우울증, 면역체계 이상, 만성요통 2. 단전 차크라(배꼽 아래 단전 부위) - 황토색(주황색) 인간과 인간, 자신을 둘러싼 환경과의 관계를 이끌며 생식기, 대장, 요추, 골반, 엉덩이, 방광, 신장, 여성의 자궁 등과 연관되어 있다. 배설기 계통의 활동을 돕기 때문에 신체의 해독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부조화되었을 때 ![]() ◆심리적 증상 과거 또는 현재에서 감정적, 육체적으로 심한 쇼크를 받고 있어 그 쇼크를 놓아버리지 못하고 겁에 질려 떨고 있는 경우도 있다. 이기적이고 교만하여 타인과 원만하지 못하며 허영이 있어 실속 없이 부풀리고 사회적 신분을 중요시하여 다른 사람의 시선을 의식하며, 자신감이 없어 타인에게 기대거나 의존하며 우유부단하기 때문에 책임을 전가하며 타인으로부터 부담스럽게 여겨진다. 감수성이 풍부한 반면 상처받기 쉽고 부주의하거나 경솔한 면도 있다. 타인과의 관계에 부정적인 에너지를 형성한다. ◆육체적 증상 전립선의 질환, 난소암, 허리와 엉덩이의 만성 통증, 생리통, 남녀 생식기 질환, 소변 질환, 성적인 힘 3. 위장 차크라(태양신경총 부위) - 노란색 내면의 자아성찰로 나아가게 하며 소화기계를 다스리며 췌장, 위장, 신장, 부신, 간장, 쓸개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반적으로 복부에 영향을 주며 많은 사람들이 고생하는 위장 질환과 소화 섭취를 도우며 특히 심인성으로 인한 위장 질환을 바로잡는데 효과적인 차크라이다. 부조화되었을 때 ![]() ◆심리적 증상 정서적으로 항상 불안하고 사람을 의심하거나, 정신적으로 강한 두려움을 내포하기 때문에 자신의 능력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거나, 자신의 정신적 능력을 믿지 못해 상황이 자기 뜻대로 돌아가지 않으면 병이 되기도 한다. 완벽주의에 보수적이기 때문에 좁은 시각에서 삶을 바라보며 완고하고 융통성이 없어 한 가지 생각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고립된 느낌을 갖는다. 그리고 항상 계획을 잘 세우나 실행에 옮기지 못하는 편이다. 자신이 실행에 옮기지 못한 사실을 후회하는 경향이 있다. ◆육체적 증상 급만성 소화불량, 위나 십이지장 궤양, 췌장염이나 당뇨, 식욕부진이나 항진, 간 기능 장애 등 4. 가슴 차크라(가슴 한 가운데 부위) - 초록색 인체의 에너지 체계에서 중심이 되는 발전소로 우리 삶 속에서 이해와 공감을 일깨우고 표현하게 한다. 가슴 한 가운데에 위치하여 심장과 순환체계, 흉선, 갈비뼈, 폐, 어깨, 팔 그리고 손과 연관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모든 영양분의 소화에 영향을 미치며 심장 질환이나 소화 질환과 연관이 있는 차크라이다. ![]() ◆심리적 증상 마음속에 사랑이 메마르고 자기 사랑에 결핍이 있으므로 오히려 사랑을 소유하려 한다. 그러다가 안 되면 화내거나 의심하고 시샘하며, 심한 경우에는 질투가 지나쳐 남의 것을 욕심내고 탐낸다. 늘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기를 기대하고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자신의 감정을 너무 억누른 나머지 어중간한 발언과 태도를 취하며 책임을 회피하고 나아가서는 정서 결핍이 되어 남 앞에 나서지 못하고 지나치게 수줍어하며 조심스럽고 불안해한다.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인생에 충분히 참여하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인생이 불공평하고 정의롭지 못하다고 생각하며, 자신을 인생의 낙오자나 불운한 운명을 타고났다고 생각하여 스스로 비참해지거나 무관심 혹은 냉담한 사람이 된다. 금전적인 불안정이 있어 남을 돕는 데 인색하다. ◆육체적 증상 고혈압, 저혈압 등의 혈액순환의 문제, 부정맥, 심장 불안, 가슴 답답함, 협심증, 심근경색, 심장마비. 폐암이나 기관지 폐결핵 폐염 천식. 어깨가 아프고 흉추가 아프다. 50대에 찾아오는 어깨 아픈 증상의 하나인 오십견통도 가슴 차크라가 막혀서 생긴다. 5. 목 차크라(목 부위 경부 신경총) - 파란색 신성으로 향하는 인간의 의지를 담당하며 인체의 목과 연결되어 신체의 신진대사와 평형을 조절해주는 갑상선, 부갑상선의 기능을 주관하며 경추, 목, 입, 치아, 턱, 호흡계통, 기관지, 발음기관 등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 ◆심리적 증상 타인을 지배하려 하지만 우월한 사람에게는 항상 복종한다. 고정관념을 갖고 있어 변하려 하지 않고 전통에 집착하여 타인과 의사소통이 잘 안 되기도 한다. 항상 규율과 감독을 요구하는 엄격하고 완강한 권위주의적인 아버지 상이다. 마음속에 늘 허무감이 있고 항상 채워지지 않는 무언가가 있어 고독과 외로움으로 인한 나머지 타인을 지나치게 간섭하게 된다. 의심이 많아지고 요령이 부족해지고 일상생활에 별 관심이 없어서 현실감각이 무뎌지고, 감상적이고 자신을 표현하기 어려워하고 조용하고 억제되어 자기만족에 머무르기 때문에 타인에게서 멀어지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육체적 증상 갑상선이나 후두 혹은 폐, 기관지, 천식 등 6. 미간 차크라(두 눈 사이, 두뇌중앙의 뇌간) - 남색 영적인 의식과 자신의 본면목을 찾으려는 본성을 담당하며 두뇌 우반구 기능과 마음의 창조적 작용과 연관되어 있다. 두 눈 사이의 눈두덩과 송과선에 연관되어 시각 및 청각기관을 포함한 뇌하수체와 신체 전반의 내분비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 ◆심리적 증상 미간 차크라가 불안정하면 항상 근심에 빠진 상태이다. 의식이 없는 상태를 두려워한다. 외적인 지능에 매혹된다. 이기적인 이유로 힘을 추구한다. 타인의 재능을 부러워한다. 끈질기지 못하다. 약속에 늦는다. 미신적이다. 비능률적이다. 현재에 살지 못하고 미래를 두려워한다. 타인을 얕잡아본다. 타인이 느끼는 자신의 인상에 대해 과민하다. 실천력이 부족하다. ◆육체적 증상 눈과 귀, 코, 즉 얼굴에 생기는 질병과 폐 질환 천식 및 소화불량 7. 두정 차크라(머리끝 정수리) - 보라색 인간을 높은 차원의 우주 힘과 공명할 수 있도록 기도와 명상을 통해 내면의 각성을 얻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인체의 머리끝 정수리에 위치하여 두개골 체계와 신경계통, 골격계통 전반의 기능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든 신경통로, 신체 내의 전기적 흐름 등에 영향을 미치는 차크라이다. ![]() 부조화되었을 때 ◆심리적 증상 이 차크라의 조화가 깨지거나 부족하게 되면 오해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고 오랫동안 사람을 사귀지 못해 극도로 우울해지거나, 자기를 불신하여 자신에 대해 부정적이며 비판적이게 되고, 동정을 바란다. 이런 곳에 있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되며, 삶에서 물질이라는 난관에 부닥치게 된다. 이 차크라는 머리와 관계되므로 건망증, 치매 혹은 인내력 부족으로 인해 경솔하거나 무례하거나 오만해지는 경향도 있다. 또한 뇌하수체 호르몬 기능 저하로 인한 건망증과 그리고 참을성 부족 등의 증상이 있다. 인기가 있거나 필요한 존재가 되고 싶어하기 때문에 무관심, 두려움, 고뇌로 고통을 받는다. ◆육체적 증상 류머티즘, 뇌진탕, 간질, 뇌종양, 뇌척수막염, 신장 및 방광 질환, 신경과민. |
출처 : 항상 따듯함을 줄수있는 사람이..
글쓴이 : barama61 원글보기
메모 :
'사람과 영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경문 사용하는 순서 (0) | 2018.08.07 |
---|---|
[스크랩] 한의학 기초 강의 - 정.기.신.혈 (0) | 2015.04.05 |
사후세계 경험 원인 밝혀 (0) | 2012.12.04 |
저승문답-명부 이야기(유명문답록) (0) | 2011.08.05 |
저승사자 TV에서 본 것과 똑같더라-복어독 중독 현석 고백 (0) | 2010.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