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역사

환단고기 위서인가?

평창군 대하리 2016. 2. 14. 15:34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門下侍中), 역임한

행촌 이암(杏村 李灸,1297~1364) 선생이 쓴 단군세기(檀君世紀) 서문에 대해서

대한민국의 정통 강단사학의 태두들이 자리 잡은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가

단군세기 서문을 보면 너무 근대사의 술어 냄새가 난다고 말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세계만방이라는 말이 옛날에 쓰던 말이 아니라고 한다.

그리고 “국유형(國猶形) 사유혼(史猶魂)”하니,

나라는 형체와 같고 역사는 혼과 같으니,

이게 박은식 선생의 한국 통사(韓國痛史)에 있는 얘기를 끌어다 썼다고 한다.
 
그런데 박은식 선생의 책 원본, 한자로 된 책을 보면

내가 옛사람의 글을 인용해서 이런 얘기를 한다는 말이 있다.

그러니까 박은식 선생이 단군세기(檀君世紀)를 베낀 것이다.

그런데 그 앞에 한 구절을 빼고서 거꾸로 뒤집어가지고서

한국통사에 있는 그런 한 구절을 단군세기에다 끌어다 썼다고,

이유립이가 조작을 했다고, 그런 것을 보면 심성이 좋은 사람들이 아니다. 

그리고 그들은 어떻게 행촌 이암이 국록을 먹은 사람이

몽고니, 고려니 이런 말을 직설적으로 쓸 수가 있느냐’라고 묻는다.   

 
 
행촌 이암은 고려말 사람으로 여섯 명의 왕을 모신 사람이다.
지구촌의 3분의 1을 통일한 원나라 대제국이 고려를 쳐들어 왔을 때,
원나라의 시녀로 전락한 고려의 오잠吳潛, 유청신柳淸臣 같은 역적이 나와 가지고
고려란 나라 간판을 떼고서 전부 보따리 싸들고
원나라 조정으로 귀속해버리는 이런 역적들이 날뛸 때다. 
그들은 일단 부정하고 보자는 생각으로 꼬투리를 잡다보니
잠청배(潛淸輩)’를 “청일전쟁에서 승리하여
조선 땅에서 청나라를 몰아낸 일본이 ‘청과 몰래 내통한 무리’를 가리켜 한 말”이라고
잘못 해석하는 웃지 못 할 일들이 벌어진 것이다.
 
 
 "잠청배(潛淸輩)"는 원래 이암이 『단군세기』 서문에서 처음으로 쓴 말인데
원나라 간섭기 때 고려 인물로 정치적 문제를 일으켰던
오잠과 류청신의 이름을 빗대어 ‘오잠(吳潛)과 류청신(柳淸臣) 같은 무리’라는 뜻으로 한 말이다.
위서론자들은 이렇게 잠청배를 잘못 해석하여
『단군세기』 서문은 이암이 아닌 구한말 이후의 사람이 쓴 것이라는 억지 주장을 한 것이다.
이것은 역사학자가 역사 지식의 부족을 스스로 드러낸 주장이다. 정말 통탄할 노릇이다.”
 
 
 
그들은 지명과 인명의 실제 사용연대가 저술 연대보다 훨씬 후대이므로 그 내용을 믿을 수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고탑이라는 지명과 잠청배라는 용어를 들어
단군세기나 북부여기가 청나라 이후에나 저술될 수밖에 없는 책이므로
고려시대에 저술된 책이 아니라 청나라 이후에 조작된 책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위서론자들의 주장이 얼마나 무지하고 억지스러운지를 반증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영고탑은 그들의 주장처럼 청나라 이후에 생긴 것이 아니라
이미 명대明代의 기록에 영고탑이라는 명칭이 나오고 있으므로
위서론자들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또 그들은 각 역사서의 저자를 문제 삼는 것이다.
‘안함로와 원동중의 『삼성기』’라는 『세조실록』의 기록은 보지 않고
그보다 70여 년 후에 쓰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안함安咸·원로元老·동중董仲’ 세 사람이 황해도 해주 수양산성을 쌓았다는 기록이 있으므로,
『삼성기』의 저자를 안함로, 원동중 두 사람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라 주장한다.
 
얼핏 일리 있는 말로 들리지만 이 주장에는 커다란 모순이 있다.
일반적으로 책을 인용할 때 앞서 나온 책을 인용하는 것이 상식인데
이 경우는 『세조실록』을 기록하는 사람이 70여 년 후에 쓰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인용하였다는
상식 밖의 주장을 하는 것과 같다.
이렇게 몇 가지만 지적하더라도 위서론자들의 주장이 얼마나 허구적이고 비양심적인지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위서론자들은 또 자유, 평등, 인류, 세계, 원시국가, 문화,문명, 개화, 부권(父權), 헌법과 같은
어휘가 쓰인 것을 빌미로, 환단고기를 일제강점기 때
독립 운동가들이 민족주의를 고양하기 위해 꾸며낸 책이라 한다.
그런데 이 어휘들은 고문헌에서도 발견되는 것들이다.
그 중에서 자유는 ‘자기가 주인이 되다’라는 뜻으로,
평등은 산스크리트어의 번역어로서 ‘차별이 없다’는 뜻으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다.
환단고기에 나오는 자유와 평등도 그러한 뜻으로 쓰인 것이다.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에 나온 시선집인 옥대신영(玉臺新詠)에 수록된

공작동남비((孔雀東南飛)에서 “내가 마음속으로 오랫동안 분함을 품고 있었는데,

네가 어찌 멋대로 할 수 있는가(吾意久懷忿  汝豈得自由)라고 하여 자유라는 어휘가 나온다.


인도 승려 구마라습(鳩摩羅什,344~413)에 의해 한문으로 번역된 금강경 정심행선분(淨心行善分)편에 이 법은 차별이 없어 높고 낮음이 없다(是法平等 無有高下)라고 하여 평등이란 어휘가 사용되었다.
 
장자 지북유(知北遊)편에서 “생물은 이를 서러워하고,
사람은 이를 슬퍼한다(生物哀之 人類悲之)라 하여 ‘인류(人類)라는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당나라 때 한문으로 번역 된 능엄경의 ‘무엇을 중생세계라고 합니까(何名爲衆生世界)라는 구절에
세계라는 어휘가 사용 되었다.
 
주역 계사하(繫辭下)의 ‘군자는 편안할 때에도 위태로움을 잊지 않고,
존립해 있을 때에도 멸망을 잊지 않으며, 잘 다스려질 때에도 어지러움을 잊지 않는다.
그래서 몸을 보전할 수 있고, 집안과 나라를 보전할 수 있는 것이다
(君子安而不忘危 存而不忘亡 治而不忘亂  是以身安而國家可保也)라는 구절에서
고대로부터 사용된 국가를 확인 할 수 있다.
 
‘문’과 ‘화’가 결합된 문화라는 말은 고대에 이미 사용 되었으며,
문으로써 가르쳐 변화시키다(以文敎化)를 뜻한다.
전국시대의 역사서인 국어(國語), 진어(晉語)편을 보면,
선행을 상주고 간악한 행위를 벌주는 것은 나라의 법이다
(賞善罰姦 國之憲法也)하고 하여 ‘법, 법전을 뜻하는 헌법이 나온다. 
 
 
 
예로부터 민간에 비장되어 온

안함로의삼성기 상  원동중의삼성기 하

행촌 이암의단군세 기  범장의 북부여기

일십당 이맥의 태백일사 이 다섯 종의 책을 한 권으로 엮은 책이『환단고기桓檀古記』다.
 
신라 고승高僧 안함로安含老(579~640)에서

조선조 이맥李陌(1455~1528)에 이르기까지 거의 천 년 세월에 걸쳐

다섯 사람이 저술한 사서가 하나의 책으로 묶여진 것이다.

이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전혀 알려지지 않은 글들을 편집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삼성기三聖紀라는 책은 세조실록에도 그 책 이름이 나온다.
민간에 이미 알려져 있었다는 얘기다. 
신라, 백제 전후부터 내려오던 고귀한 우리의 역사 기록을 거반 망라해서 묶어 놓은 책이다.
신라 때부터 마지막 왕조 근세조선 때까지 당대의 최고 지성인 다섯 분이 천년에 걸쳐서 기록한 것이다.
 
『환단고기(桓檀古記)』는 중국과 일제가 저지른 역사 왜곡을 바로잡을 수 있는 유일한 사서이다.
그런데도 일제 식민사학 추종자들이 그들의 영달과 직결된 자신들의 아성을 방어하기 위해 뿌려 놓은
<환단고기> 위서 바이러스에 많은 국민들이 감염이 되어 있다.
위서론자들의 본질적인 이유는 식민사학이 붕괴되어 자신들의 기득권이 상실 될 것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백번 양보하여 정말 근대어가 가필되었다 하더라도
그것이 환단고기 자체가 완전 조작된 위서임을 증명하지는 않는다.
인류사의 여러 경전들을 돌이켜 보라.
수백 수천 년의 세월 속에서 끊임없는 가필과 재편집을 통한
보정 작업 끝에 오늘날의 경전이 되지 않았는가.
주역(周易)은 태호 복희씨로부터 공자에 이르기까지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완성되었고,
도덕경은 왕필이 덕경과 도경의 본래 순서를 뒤집어 재구성한 것이다.
 
동양의학의 성서인 황제내경은 황제 헌원을 가탁하여 전국시대를 거쳐 한 대에 성립되었고,
불교의 화엄경도 분리되어 있던 경전들이 수차례의 결집을 거쳐 후대에 합쳐진 것이다.
환단고기를 구성하는 다섯 권의 사서가 천 년에 걸쳐 쓰인 사실과
그 중 가장 나중에 쓰인 태백일사가 나온 지 400년이 지나 환단고기가 묶어졌다는 것을 생각해 보자.
 
원래 다섯 저자들이 쓴 원본이 무수한 전란과 외세의 사서 강탈을
무사히 피하여 전해졌을 가능성은 아주 낮다.
계연수가 모은 다섯 권은 필사 과정에서 인물, 연대, 장소가 오착되기도 하고
부족한 내용에 가필도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때문에 환단고기의 일부 술어와 연대 표시가 사실과 다르거나
다른 사서들과 다소 어긋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한민족의 국통 맥, 태곳적 한 문화의 다양한 모습을 밝혀 주는
환단고기의 독보적인 가치가 전적으로 매도 될 수 는 없다.
 

그리고『환단고기』의 기록을 검토해 볼 때 그 내용이 유물로 입증된 사례도 있다.
『환단고기』에는 장수왕의 연호와 관련된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 내용이 1915년에 발견된 불상에 새겨진 기록에 의해서 입증된 것이다.
환단고기 태백일사에는 장수왕이 즉위하자
건흥建興’이라는 연호를 사용한 기록이 있는데
건흥 연호가 1915년 충북 충주 노온면에서 출토된 불상의 광배명光背名에서 나타난 것이다.
 

역사기록의 진실여부는 고고학적 발굴에 의해 입증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사례를 과학적 용어로 검증이라고 한다.
시기적으로 볼 때 기록이 먼저 있고 그 기록의 사실여부를 밝혀주는 유물이 발견되면
그 기록의 진실성이 검증된다. "천남생묘지(泉男生墓誌) 비문(碑文)"도 그러한 예가 될 것이다.
 
 
 
 
천남생(泉男生)은 고구려의 재상이자 영웅인 연개소문의 큰 아들이다.
그의 묘비명이 1923년에 발견되었는데 거기에는 남생의 아버지 개금(蓋金),
할아버지 태조, 증조부 "자유(子遊)"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태백일사太白逸史』가 『조대기朝代記』를 인용하여 밝힌 기록과 일치한다.
이 책은 여기에 남생의 고조부, 즉 연개소문의 증조부 이름을 "광(廣)"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다른 곳에서 나오지 않는 것이다.
 
또 광개토태왕 비문에는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國岡上廣開土境平安好太王)’의
환지 17세손’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는 ‘광개토태왕은 추모鄒牟왕의 13세손’이라는 삼국사기의 기록과 다르다. 왜 이런 차이가 나는가?
환단고기를 보면 그 이유가 밝혀지게 된다.
 
환단고기』에는 고구려 제왕의 계보가 제1세 해모수(BCE 194년에 단군조선을 계승하여 북부여 건국)로부터 →제2세 고리국의  단군조선을 계승하여 북부여 건국)로부터 →제2세 고리국의 제후 고진(해모수의 둘째 아들)→제3세 고진의 아들→제4세 옥저후 불리지(고진의 손자)→제5세 고추모(고주몽, 고진의 증손자) … 제17세 광개토태왕(주몽의 13세손)이라고 분명히 밝히고 있다. 
 


주몽의 선조는 해모수이며 그로부터 치면 광개토대왕은 17세가 되는 것이다.
삼국사기도 광개토대왕비도 모두 정확한 사실을 담고 있었던 것인데
그것을 환단고기가 해명해준 것이다.
이로써 우리는 환단고기가 후대의 창작이 아닌 진서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환단고기가 진서임을 알려주는 여러 증거들이 환단고기 자체 내에 많이 들어있다.
 
문제는 그 증거들을 일일이 입증하는 것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대하는 자세이다.
왜 자세히 연구하고 검토하지 않고 굳이 위서라고 낙인찍는가 하는 것이다.
 민족사학자이건, 역사학계의 주류 사학자이건 누구라도
환단고기를 연구하는 사람은 우선 환단고기에 담긴
한민족과 인류의 시원 문화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는 열린 태도와 긍정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예로부터 전해오던 한민족의 고유사서들 대부분은
전란이 빈번하여 사서들이 소실된 경우가 많았고
적에게 탈취되어 사라진 경우도 적지 않았기 때문이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궁궐과 많은 절, 건물들이 불에 타면서
그곳에 있던 서적들도 소실되었을 것이다.
그뿐 아니라 유학에 물든 조선 조정은 우리 고유 사서를
민간으로부터 수거하여 궁궐에 비장하였다가 전란이나 화재로 사라진 경우도 적지 않았을 것이다.
 
『환단고기』에는 『신지비사神誌秘詞』, 『진역유기震域留記』, 『삼성밀기三聖密記』, 『조대기朝代記』, 『고기古記』, 『밀기密記』, 『대변경大辯經』, 『삼한비기三韓秘記』, 『삼한고기三韓古記』, 『해동고기海東古記』, 『고려팔관 잡기高麗八觀雜記』 등 현재 전해지지 않는 고유 사서의 이름이 나온다. 이렇게 한민족사의 참 모습을 확인시켜 줄 사서들이 거의 다 사라져버린 지금, 『환단고기』와 『단기고사檀奇古史』, 『규원사화揆園史話』, 『제왕연대력帝王年代歷』 등 몇 종의 책들이 겨우 전해지고 있다.
 
『단기고사』는 고구려 유민들을 모아 대진국을 세운 대조영의 아우 대야발大野勃이
발해문자로 쓴(729년) 책이다.
전수 과정의 우여곡절을 거친 끝에 1959년 국한문으로 번역되었지만, 6·25 사변 때 소실되었다.
현존하는 『단기고사』는 구전되어온 자료를 토대로 복원된 것이다.
『규원사화』는 그 서문에 의하면, 북애노인北崖老人이란 인물이 숙종 2년(1675년)에 지었다.
총 다섯 부분으로 나눠져 있으며, 환인, 환웅, 단군의 삼성조시대를 모두 다루고 있다.
 
『제왕연대력』은 신라시대 최치원이 지은(890년경)대표적 저술 중의 하나로 신라 역대 왕력이다.
원본은 일제 때 화재로 소실되었고, 현재 홍종국洪種國이 필사한(1929년) 필사본만 전한다.
고조선의 1세, 2세 단군에 대한 서술이 나온다.
이들 고유 사서 가운데서도 삼성조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한민족의 역사만 아니라
상고시대 동북아 문화권의 정치, 경제, 풍속, 언어, 음악, 국제 관계 등에 대한
귀중한 기록을 전하는 『환단고기』야말로 한민족 고유사서의 최고봉이라 하겠다출처: 세종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