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산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김용민)는 24일 “제8차 왕흥사지 발굴조사 결과,
금ㆍ은ㆍ동의 사리함 세트와 탑에 넣은 공양품인 옥구슬, 금실, 동전 등 각종 귀금속 및 장신구,
백마강변에 배를 대고 사찰 안으로 들어가는 왕의 행차로인 어도(御道) 등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사리기 안에서 사리는 발견되지 않았다.
완벽한 원형보존 상태로 발견된 사리기는 가장 큰 청동의 사리함(폭 7.9㎝, 높이 10.3㎝)에
그보다 작은 은제 사리병을 넣고, 실제 사리를 담은 가장 작은 금제 사리병을
그 안에 다시 집어넣는 세 겹 중첩형식이다.
명문은 청동 사리함의 외벽에 음각체로
‘정유년 2월 15일 백제왕 창이 죽은 왕자를 위하여 절을 세우고
본래 사리 두 매를 묻었을 때 신의 조화로 셋이 되었다(丁酉年二月/十五日百濟/王昌爲亡王/子立刹本舍/利二枚葬時/神化爲三)’라고 새겨져 있다.
이에 따라 왕흥사의 실제 축조연대는 법왕 2년(서기 600년)에
축조돼 무왕 35년(634년)에 낙성되었다는 삼국사기의 기록보다
최소 23년 앞선 위덕왕(창왕) 24년(577년)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왕흥사가 위덕왕의 선왕인 성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세워진 절이라는
학계의 일반적인 추론과 달리 죽은 아들을 위해 만든 절임이 밝혀졌으며,
위덕왕이 597년 일본에 사신으로 보낸 아좌(阿佐)태자 이외에
또 다른 왕자를 두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