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범의 구석 유물 쇠반달칼(길이 12.7cm)
고조선의 철기 문화는 주로 한반도 북쪽에서 형성됐기 때문에
우리는 현재 그 유적을 직접 찾아 보기가 무척 힘들다.
1988년 평양의 「조선유적유물편찬위원회」에서는 1만여 점의 유물을
전20권에 걸쳐서 <조선유적유물도감>이라는 이름으로 출간했다.
그 가운데 고조선 시대의 유물에 대한 도감은 1995년 <한민족의 문화 유산>이라는 제목으로
한국신문방송인클럽이 서울에서 출간했다.
이 자료에 나타난 고조선의 초기 철기 문화를 살펴본다.
범의 구석 유적은 함경북도 무산군 무산읍 서쪽의 두만강가에 자리잡고 있다.
신석기시대부터 철기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수천 년간의 역사를 담고 있는 이 유적층 가운데
제5문화층은 기원전 7세기에서 기원전 5세기에 해당하는 문화층이다.
범의 구석 유적(5문화층)에서 쇠도끼, 쇠창, 쇠대패날, 쇠끌 등 적지 않은 철기가 나왔다.
쇠창은 청동기시대의 버들잎 모양의 훅요석 창끝과 비슷하며 구두칼 모양의 쇠칼도
이전 시기의 점판암으로 만든 칼과 비슷하다.
청동기시대의 석기를 그대로 모방한 이와 같은 철기의 형태는
이곳의 유물이 철기시대에 들어 선 초기의 것임을 말해 주고 있다.
북한 학자들은 여기서 출토된 쇠도끼는 완전 용융 상태에서 얻어진
선철 주물품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만약 그것이 사실이라면 기원전 6세기를 전후한 시기에 질 좋은 선철제 도끼를 생산했다는 것은
세계 제철 기술사에서도 그야말로 보기 드문 예이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3세기경 선철을 이용해 도구를 만들었으며,
유럽에서는 14세기가 되어서야 액체상의 선철을 이용할 수 있었다.
남한의 학자들은 대개 한반도에서 철기시대가 빨라야 기원전 4세기 경에 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원전 4세기에서 기원전 2세기에 해당하는 범의 구석 유적
제6문화층에서는 이전에 사용되던 석기가 자취를 감추고
그 대신 쇠도끼, 쇠낫, 쇠반달칼, 쇠자귀, 쇠낚시 등
여러가지 종류의 철제 생산도구가 수없이 많이 나왔다.
이것은 이 시기에 이르면 이 지역에서 철기 사용이 보편화됐음을 말해준다.
임경순(포항공대 교수)
출처-포스코신문 http://cgi.postech.ac.kr/cgi-bin/cgiwrap/~gsim/technote/read.cgi?board=gsimSci&y_number=30
'우리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7세기 연해주는 조선땅이었다”(뉴스메이커) (0) | 2009.09.09 |
---|---|
백두산지역서 고대 대형제단 대거 발굴 (0) | 2009.03.15 |
제사의 기원 (0) | 2009.01.27 |
요순 선양? (0) | 2009.01.17 |
천부경 해설 (0) | 2009.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