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사교과서는 서력 기원전 57년
박혁거세가 경주 평야에 신라를 세웠고
고구려는 기원전 37년 주몽이 압록강 중류의 동가강 유역에서 건립했으며
백제는 기원전 18년에 온조가 한강유역에 터잡고
출발한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삼국 중 신라가 가장 먼저 건국됐고
20년 후 고구려, 그로부터 다시 19년 후 백제가 성립됐다
흠정만주원류고에서는
신라는 처음에 백제의 부용(附庸) 국가였는데
나중에 가라 임나 등 여러 나라를 겸병하여 백제와 대등한 이웃나라가 됐다
흠정만주원류고는 무슨 근거로 이러한 논리를 전개한 것일까
아마 북사(北史)의 다음 기록을 참고한 듯하다
신라는 백제에 부용되어 있던 국가다
여기서 부용이란 큰 나라에 부속된 작은 나라
다른 나라의 지배를 받는 국가를 말한다
맹자에는 강역이 50리가 안 되어 제후에게
부속된 작은 국가를 부용국이라 한다는 설명이 있다
삼국 중 가장 생명력이 길었던 백제
북사(北史)에는 백제에는 5방(五方)이 있고
방은 10군(郡)을 관리한다라고 했고
구당서(舊唐書)에는 6방이 각각 10개군을 관리한다 라고 했다
두 기록에 따르면 백제의 군이 50개 내지 60개라는 이야기다
그런데 소정방이 백제를 공격해 빼앗은 것은 37군이다
빼앗지 못한 군이 5분의 2나 된다 이것은 백제가 완전히 멸망하지 않고
상당 부분 그대로 보존됐음을 뜻한다
660년 당나라 소정방에 의해 멸망한 백제는 일부분에 불과하며
절반 가까운 세력이 그대로 남아 백제라는 이름으로 존속했다는 것이
흠정만주원류고의 주장이다
또한 삼국 중 백제가 최후까지 남았다는
사실의 근거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후당 시기에 백제에서 당나라에 사신을 파견한 기록이
사서에 실려 있고 원(元)나라 때도
백제가 중국과 내왕한 사실이 사서에 등장한다
몽골족이 세운 원나라는 1280~1367년까지 존속했다
이를 근거로 추정하면 백제는 935년에 멸망한 신라보다
최소한 수백년 가량 더 존속했고
따라서 백제는 삼국 중 최후까지 남아 있었던 나라였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원문링크 신동아
http://www.donga.com/docs/magazine/shin/2004/09/23/200409230500060/200409230500060_5.html
'우리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칼에선 동명성왕을 고구려칸이라 부른다 (0) | 2007.06.10 |
---|---|
한민족 기원지 바이칼호 주민들 (0) | 2007.06.10 |
대륙 백제 흠정만주원류고 인정 (0) | 2007.06.09 |
일목삼신어와 삼신사상 (0) | 2007.06.09 |
히브리어 대동강변 기와에서 발견 (0) | 2007.06.06 |